본문 바로가기

잡설1502

대인배.... 이번 문재인 대통령 정부의 노인 정책을 보면서 문득 드는 생각. 자한당의 어깃장에 수없이 칼질을 당하고 있긴 하지만 그래도 어찌어찌 지켜낸 부분들이 노인들의 숨통을 조금은 틔어주는 복지 정책인데... 물론 그 지원을 받은 노인들의 상당수는 전혀 고마워하지 않고 그 기운으로 태극기를 들고 거리로 나와 대통령 욕하고 지금 정부 욕하면서 자기들 먹을 거 뺏어가는 자한당을 열렬히 지지하고 있고, 눈곱 만큼이라도 여유가 있으면 자한당 지원에도 쓰고 있지만. 그래도 꾸준히 노력하는 거 보면 당연한 일이긴 하지만 그 당연함이 당연하지 않았던 이명박근혜의 시간을 오래 살아와서 그런지 대단해 보인다. 지난 2012년 대선 끝난 다음 날 아침에 내가 가장 먼저 한 일이 저 강북 쪽 어느 동네에 독거노인들 무료급식이랑 생활.. 2019. 12. 23.
그냥 주절주절 1. 오랜만에 카드들 바꾸고 하면서 전에 없었던 실적 어쩌고 때문에 나름 골머리를 썩이면서 사용 중. 이놈의 실적이란 게 참 요물인 것 같다. 요만큼만 더 써서 넘기면 이런 혜택이 있고 안 쓰면 날아가고 하니 왠지 아까워서 채우고 싶은 욕심이 스멀스멀 일어나는데.... 안 쓰면 100% 할인이라는 걸 명심하자. 꼭 써야하는 걸 제외하고는 안 쓰는 게 사실 제일 남는 장사임. 소소한 포인트며 혜택에 연연하지 말기. 근데... 국민카드 이벤트들은 참 쏠쏠하군. 페이백 이벤트에서 챙긴 게 오늘 2천원 포함해서 5만원을 넘겨 6만원에 다가가는 중. 더 쓰면 더 받겠지만 역시나 이걸로 만족하기로. 여튼 이 글을 굳이 쓰는 이유는 씨티카드 실적 넘기려고 애쓰지 말자는 걸 다짐하는 의미에서. 1000 마일리지를 위해.. 2019. 12. 20.
인생은 타이밍 쇼핑도 타이밍. 성탄절과 부친의 생신은 보름 정도의 차이를 두고 붙어 있다. 그래서 성탄 때 선물을 쫌 거~한 걸로 해드리면서 생신과 함께 퉁치는데 올해는 통 큰 동생이 화면도 한번씩 지직거리면서 목숨이 까딱까딱하는 TV를 하나 사드리자고 하길래 반띵이니 OK 했음. (난 가을에 파리 여행을 생신 선물로 생각했구만 그건 어디로? ㅠㅠ) 소심하고 전자제품에 큰 욕심 없는 나의 계획은 60인치 대에 200만원 안쪽의 적당한 걸로 예정했는데... 올레드 THIN인가 하는 얇은 TV에 꽂힌 동생. 그럼 지가 검색을 하던지 할 것이지 연말이라 바쁘다고 한시적(아멘) 백수인 내게 떠넘기는 바람에 취미에 없는 TV 검색 모드가 되어 머리를 쥐어짜다가 2019년 모델에 가격이며 그나마 괜찮아 보이는 걸 하나 골랐다. .. 2019. 12. 17.
훼방 불교 용어로는 마구니가 낀다고 해야 하나? 어디선가 읽은 글인데 뭔가 열심히 하려고 할 때, 예를 들어 다이어트를 시작할 때 갑자기 회식이며 먹을 약속이 계속 생기고 먹을 복이 터지는 것은 뭔가를 성취하려는 수행을 막으려는 마귀들의 훼방이라고 한다. 그런 유혹을 다 물리치고 자기가 목적한 바를 향해 가는 게 수행의 길이라는... 상당히 와닿는 내용이었는데 요즘 내게 마구니가 낀 듯. 모처럼 한가해진 12월에 미뤄놨던 자체마감을 하려고 갖은 애를 쓰다가 지난 주말부터 겨우 시동이 걸렸다. 일요일에는 상당히 의미있는 분량을 오랜만에 썼음. 그런데... 이 여세를 몰아가려는 월요일에 작업실의 컴퓨터 모니터가 먹통이 됨. 컴은 분명히 켜지는데 접촉 불량인지 아니면 다른 원인인지는 모르겠지만 왔다갔다 하던 모니터.. 2019. 12. 11.
테스트 웹에서 비번을 바꿨는데 앱에선 이전 비번 그대로 접속이 되네? 이거 오류 아닌가??? 알아서 고치겠지. 다음이 카카오로 넘어간 다음부턴 하는 것마다 왠지 정이 안 가서... 굳이 알려주고 싶지도 않음. 2019. 12. 11.
올해 첫 난로 가동. 차 마시면서 약하게 틀어놓으니 더워서 방금 껐다. 켜면 덥고 끄면 춥고의 약간 난감한 상황. 올 겨울도 잘 부탁해~ 2019. 11. 25.
겨울맞이 그동안 간절기 이불로 버텼지만 어젯밤에는 안 되겠다 싶어짐. 영하로 내려간 날씨라는 거 집이지만 실감. 오늘 저녁에 두툼한 겨울 이불로 바꿔서 덮으니 낙원이 여기로구나 하는 동시에... 우리 아파트에 사는 고양이 2마리를 포함해 길에 사는 생명들이 이제 또 얼마나 혹독한 시간을 보내야하나 떠오르니 마음이 묵직. 밥이라도 좀 잘 먹이고 싶지만 고양이에게 밥 준다고 ㅈㄹㅈㄹ거리는 인간 하나 때문에 밥 주시던 분도 눈치 보며 몰래몰래. 기척도 안 내고 조심조심 숨어 다니는 애들에게 뭔 원수가 졌는지. ㅡㅡ+++ 부디 은신처 발각 당하지 말고 이 겨울 잘 넘기길. 2019. 11. 19.
겨울이구나.... 작업실에서 차를 혼자서 3종류나 마셨다. 보통 티백 한개에 2-3번 뜨거운 물을 우려서 마시니 대충 5-6잔 이상을 마신 것. 10월만 해도 뜨거운 차 한잔 마시면 더워서 선풍기 틀곤 했는데 이제는 난방 켜놓고 그냥 따뜻하구나~ 정도. 이제 진짜 난로를 꺼내야할 모양이다. 오늘은 일단 철수하고 내일 선풍기 닦아서 넣고 난로랑 전기 방석 꺼내야겠다. 이제 슬슬 시동 걸고 일도 좀 해야지. 12월에 들어가기로 한 거 엎어지고는 너무 잘 놀고 있음. 10월 효도여행으로 통장이 가난해진 상태에서 상당히 괜찮은 조건의 작품이 엎어졌으니 슬퍼해야 함이 마땅한데 좀 심각할 정도로 행복함. 그동안 이상하게 일정 안 맞아서 계속 거절하던 피디에 대한 예의상 받긴 했지만 양심의 하한선 살짝 위에 있어 좀 꿀꿀한 프로그램이.. 2019. 11. 18.
자동이체 주의 카드로 이체하면 여러가지 혜택들이 있어서 몇 가지를 자동이체로 바꿔놨는데 한동안 주의해서 챙겨야할 것 같다. 케이블TV 요금이 분명히 자동이체 걸면서 할인 받기로 했는데 뜬금없이 4천원인가 더 나왔음. 내가 잘못 봤나 하다가 오늘 다시 확인하고 전화했더니 바로 자기들 실수라고 정정해줌. 고지서로 나올 때는 수년 간 단 한번도 실수를 안 하더니 자동이체 걸자마자 이 웬??? 자동이체 걸어놓고 안 챙기다가 어느날 보니 자기가 신청도 안 한 부가서비스 요금 나가는 거 발견했다는 얘기가 남의 일이 아닌 모양이다. 내가 연락 안 했으면 절대 알아서 변경해주지 않고 알아채서 뭐라고 할 때까지 저 돈 받아갔겠지. 한동안 이것저것 다 신경 좀 써야겠다. 뭐 하나 쉬운 게 없네. -_-;;; 2019. 11. 14.
간만에 커리 ​ 부친이 안 계신 저녁이라 내 취향대로 풀풀 날리는 안남미에 채소들만 넣은 인도 커리로 한끼. 시금치도 있었는데 그걸 안 넣은 걸 뒤늦게 깨닫고 좀 아쉽긴 하지만 맛있게 먹었다. 그런데.... 안남미는 확실히 배가 금방 꺼지는듯. 우리 쌀을 저렇게 카레에 비벼서 한 그릇 먹었으면 밤까지 든든할 텐데 밥 먹은지 2시간도 안 됐음에도 속이 허하다. 어제 ㅅ씨가 사온 케이크를 먹을까 고민 중.... 뜬금없이 라면도 땡기네. ㅎㅎ 참아야 하느니..... 2019. 11. 12.
반성 중 오늘 스파게티 하려다가 면이 조금 모자랄 것 같아서 파스타 면 넣어둔 장을 열어 면 꺼내다가 기절할 뻔. 면에 벌레가... ㅠㅠㅠㅠㅠ 내가 벌레를 싫어할 뿐 무서워하지 않기 망정이지 만약 벌레 무서워하는 사람이었으면 기절했겠지 싶다. 곡물에 벌레가 생겨서 몇번 고생한 이후 (벌레박사, 고추, 마늘 다 소용없음!!!) 패트병에 꽁꽁 소분해 담아두면서 그런 류의 벌레들은 사라진 줄 알았더니 이것들이 먹을 게 없으니까 파스타랑 면, 밀가루로 다 옮겨간 모양이다. 개봉도 안 한 것들도 있고 먹던 것도 지퍼백에 2겹씩 밀봉해놨는데 요즘 벌레들은 비닐봉지며 은박지 다 뚫고 들어가는 모양. 아마도 벌레의 침범을 받지 않고 멀쩡했을 애들도 (주로 일반 제품들. 유기농 제품들엔 100% -_-++ 이놈들도 좋은 걸 안다.. 2019. 11. 10.
공구 싸롱 오늘 방문한 동생 지인의 작업실이자 빈티지 패션&소품 샵. ​ ​ ​ ​ ​ 영등포 공구 상가 골목에 굉장히 이질적인 존재인데 뭔가 묘하게 어울리는 느낌이랄까. 바로 옆 건물 2층엔 차 친구가 된 비구니 스님들의 작은 절이 있고 3층엔 교회가 있다고 함. 이상한 교회들이 종종 깽판을 치긴 하지만 그래도 한국만큼 다양한 종교가 평화롭게 교세를 지켜나가는 동네도 드물지 싶다. 마음에 쏙 드는 캐시미어 코트가 가봉 단계라 입어봤는데 사이즈도 딱이라 안감 다 넣고 완성되면 내가 겟~하는 걸로. 집에 콕 박혀 있어야지 이렇게 움직이면 돈 쓴다. ㅜㅜ 2019. 1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