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633 서울대 권장도서 100권 읽기 http://media.daum.net/series/112582/?page=7 나름 책 좀 읽었다고 자부해왔었는데 이 리스트를 보면서 고개를 못 들고 있음. 몇 권이나 읽었는지는 창피해서 비밀. 그나마도 대부분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에 읽은 거로구나. 정신 차리고 책 좀 읽어야겠다. ㅜㅜ 2014. 9. 22. 일본극우파 분석보고서 이북 무료 서두르심이~ ^^ 2014. 8. 18. 최근 본 만화책들 인간이 피폐할 때는 스스로를 쥐어짜느라 뭔가를 집어 넣을 기력조차도 없다는 걸 요즘 느끼고 있다. 2012년부터 책도 점점 안 읽고 드디어는 만화를 볼 기력조차도 사라졌었는데 탱자~거리는 기간이 길어지면서 스트래스도 줄고 체력도 아주 조금 돌아오면서 활자에 대한 욕구도 함께 돌아오는 모양이다.솔직히 돈은 그야말로 근근히 생계를 유지하는 수준이지만 지금 삶이 나쁘지는 않네.물론 길어지는 건 원치 않는다. ㅎㅎ; 각설하고 최근 본 만화 기억나는대로 몇 가지~ 피아노의 숲. 19~22한 몇년 끊었음에도 겨우 4권 더 나왔다. -_-;19권만 봤더라면 그 느린 진행에 정말 미치고 팔딱 뛰었을듯. 그래도 그 이후 진행은 많이 되어서 웨이 팡과 아마미야는 해피엔딩으로 각자 새로운 길을 찾았고 드디어 결선 무대에서 .. 2014. 8. 9. 한권으로 읽는 백제왕조실록 박영규 | 웅진지식하우스(웅진닷컴) | 2014.5.23-6.11 5월 말에 미장원에서 시작해서 역시 미장원에서 끝낸 책. ^^ 취미생활을 위한 자료라는 핑계로 산 책인데 사실 필요한 부분은 눈곱만큼이고 읽고 싶어서 산 이유가 더 크긴 하다. 백제에 대해선 책도 별로 없고 많이 읽지를 않아서 아는 게 별로 없어서 그런지 이 책에서 바라보는 백제에 관한 설명과 관점이 눈에 쏙쏙 들어온다. 가장 마음에 드는 건 국내 뿐 아니라 외국 자료, 특히 일본서기를 활용해 파편만 남은 백제사의 상당 부분을 꽤나 설득력있게 끼워 맞춰주고 있다. 환단고기류의 유사역사학 때문에 대륙백제란 단어만 나오면 기겁을 하면서 환빠 취급을 하게 되는 경향이 역사 공부 좀 한다는 사람 혹은 책 좀 읽었다는 사람들에게 많은데 저자는 역사.. 2014. 6. 19. 세금 이야기 전태영|생각의나무|2014.2.22?~5.2 어째 요즘은 미장원에 갈 때만 책을 읽는 것 같다. 미장원에서 시작해서 미장원에서 마친 책. ^^; 반값 세일할 때 질러놓은 책인 것 같은데 하드커버에 두껍고 크다보니 오랫동안 책장에 꽂혀있다가 미장원 갈 때 간택되어서 2월에 2/3 정도 읽고 지난 주 금요일에 마저 다 읽고 왔다. 내용은 제목 딱 그~대~로 세금에 대한 이야기. 고대 이집트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의 세금에 대한 훑어보기로 대단한 깊이는 없지만 적당한 재미와 지식을 얻고 싶은 나같은 비전문가에게는 꽤 읽을만한 내용들이 담겨있다. 하지만 수많은 인문서적들이 그렇듯이 어떤 주제에 대한 정리는 필연적으로 저자의 사상이 근간에 깔리고 그 시각이 가미될 수밖에 없는데 그런 면에서.. 2014. 5. 7. 키드갱 완결은 웹툰으로 나서 웹툰으로 봤지만 시작은 만화였으니 만화 카테고리에~ 내 20대에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던 만화가 오늘 드디어 완결이 됐다. 한참 쫓아가다가 오랫동안 중단되었을 때 끝을 보는 걸 포기했는데 살아있으니 이렇게 보는구나. 만화가가 자신의 아들을 모델로, 초반부에는 자신의 육아 경험을 녹여서 그렸다고 했었는데... 만화 속 철수는 여전히 아가지만 그 철수의 모델이었던 아이는 이제 대학생 정도가 되지 않았을까? 정말 세월 빠르구나. ^^ 신영우 작가님 완결 축하~ 그나저나 유리가면은 내가 살아 생전에 끝을 보고 죽을 수 있으려나? 잠시 놀았으니 이제 다시 일하러. 어제 끝낸 건 자료가 넘 많아 고민이더니 이건 너무 없어서 고민이네. ㅜ.ㅜ 2014. 1. 5. 5천년 전의 일상 - 수메르 인들의 '평범한' 이야기 고바야시 도시코| 북북서 | 2013.4.?~12.2 이렇게 가볍게 읽을 수 있는 미시적이고 소소한 생활사를 좋아하기 때문에 꽤 오래 전에 사뒀는데 작년부터 올해까지 독서 의욕이 바닥을 치고 있는 터라서 계속 쳐다만 보다가 봄에 피부과 다닐 때 들고가서 시작한 것 같다. 더 두면 감상문 역시 또 몇 년이 걸리거나 아예 안 쓸 확률이 높아서 그냥 오늘 간만에 좀 일찍(?) 자기로 한 날 짬을 내서 간략 기록만. 제목대로 수메르 인들의 평범한 일상을 기록하려는 시도는 한 것 같은데.... 원래 역사라는 게 정말 '평범한' 사람은 반역이나 왕을 위해 엄청난 공을 세우거나 하는 식의 극단적인 사고가 아니면 역사에 기록되지 않다 보니 내용은 평범한 사람들보다는 왕과 그 일가들의 일상이다. 중간중간 띄엄띄엄 읽어도.. 2013. 12. 6. 미식견문록- 유쾌한 지식여행자의 세계음식기행 요네하라 마리 | 마음산책 | 2013. 2.? -? 원제는 旅行者の朝食. 올 초에 ㅌ님 댁에 놀라갔다가 강력 추천을 받고 빌려왔는데 만화책조차도 무지하게 읽히지 않던 시절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하루만에 끝을 냈던 것 같다. 이런 류의 자기 경험담이나 신변잡기를 풀어낸 책을 읽으면서 작가에게 매력을 느끼는 경우는 거의 없는데 이 책은 예외적으로 작가에게 홀라당 빠지는 새로운 경험을 했다. 저자의 프로필을 보니까 2006년에 56세의 젊은 나이에 난소암으로 세상을 떠났다고 나오던데 만약 이 언니가 살아 계셨다면 직접 찾아뵙고 책에 사인이라도 받아오고 싶을 정도로 본받고 싶은 왕언니. 좀 더 진솔하게 고백하자면 내가 살고 싶었던 모습이랄까. 어떤 의미에선 내 영혼의 쌍둥이를 만난 것 같이 사물에 대한 .. 2013. 10. 19. 스캔들 미술사 하비 래클린 | 리베르 | 2013.? - 10.5 원제는 Scandals, Vandals, And Da Vincis. 이 책 역시 산 지 꽤 됐고 읽기 시작한 지도 제법 됐는데 작년 중반부터 올해 중반까지 총체적인 독서 부진과 의욕 상실 상태 때문에 지지부진하니 잡고만 있었던 책이다. 미장원에서 머리 하면서 작정하고 끝을 냈음. ^^; 내용은 제목에서 풍기는 그대로다. 다빈치의 모나리자를 비롯해 피카소, 렘브란트, 카라바조, 로트렉, 달리 등 미술에 관심이 없어도 대부분 알만한 화가들의 대표작들과 레이번, 휘슬러, 보네르 같이 일반인들에게 그림은 알아도 화가 이름까지는 잘 모르는 작품들을 하나씩 선정해 그에 얽힌 얘기와 화가의 이야기, 미술사의 이면들 가볍게 풀어내주는 건데 책장이 술술 잘 넘어간다. .. 2013. 10. 19. 간송 전형필- 한국의 미를 지킨 대수장가 간송의 삶과 우리 문화재 수집 이야기 이충렬 | 김영사 | 2013.8.25 이게 얼마만에 쓰는 책 감상문인지. ^^; 간혹 트위터에는 짤막하게 뭐 읽었다 한줄 정도로 기록은 했지만 진이 좍좍 뽑히는 일들이 이어지다보니 찬찬히 읽은 책에 대한 기록을 한 엄두가 나지 않았다. 읽었던가 가물거리는 것들도 많지만 생각나는대로 하나씩 발굴을 해서 최소한 읽었다는 흔적은 여기에 적어둬야할 것 같다. 여름에 가족 여행 때 가져간 책이다. 나왔을 때부터 사려고 장바구니에 넣어놨다가 올해 초인가 지른 것 같은데... 그러고도 한참 있다가 겨우 읽을 엄두를 냈다. 책을 잡기까지는 오래 걸렸지만 일단 손에 잡은 다음부터는 일사천리~ 저자인 이충렬 작가가 서두에 고백한 대로 이 책은 일종의 팩션이다. 간송 전형필이라는 정말 한국인으로 감사해야할 대소장가의 생애.. 2013. 10. 18. 새해 첫 지름 3년을 벼르다가 드디어 장만한 친일인명사전. 아마 정권교체가 되었다면 $8.99 인 앱 정도만 사고 말았을 테지만 분노를 이기지 못 하고 질렀다. -_-+++ 일단 박씨부터 좍 훑어준 다음 ㄱ부터 시작해 차곡차곡 읽어나가야지. 2012년 마지막 지름은 밤 10시 다 되어서 국회의원 문재인 후원회 후원금, 2013년 첫 지름은 이렇게 친일인명사전. 내가 이렇게 전투적이고 정치적인 소비를 할 줄은 몰랐다. 왜 이놈의 나라는 내 나이에 20대의 열정을 요구하는지. -_-;;; 이걸 지르고 나니 비싸다고 눈팅만 하던 유럽 문화사 전집이 갑자기 헐하게 보이는 착시 현상 발생. ^^; 이달 말에 방송하는 거 원고료 들어오면 걔도 그냥 질러줘야겠다. 2013. 1. 1. 친일인명사전 앱 책값이 부담되서 구입 못하는 분들은 앱으로~ $8.99 랍니다. 참 싸죠? ^^ http://www.minjok.or.kr/kimson/home/minjok/doc.php?doc=126&title=%EA%B5%AC%EB%A7%A4%EC%95%88%EB%82%B4 2012. 12. 22.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53 다음